1. 인덱스(index) 펀드
- 인덱스의 의미는 "지수"이다.
- 특정 주가지수의 수익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하고 운영되는 펀드이다.
- 장기적으로 주가지수의 수익률을 이길 수 없다는 콘셉트로 운용하는 펀드이다.
- 장기 투자를 원하는 보수적인 초보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펀드이다.
- KOSPI200 지수는 한국거래소의 대표 우량종목 200개를 시가총액 비중에 따라 지수화한 것으로 주식시장 전체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 다양한 지수를 추종하고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대표적인 인덱스 펀드이다.
- 주가지수 외에도 특정 그룹의 계열사 주식으로 구성된 그룹주 지수, 특정 산업군의 주식 종목으로 구성된 반도체 지수, 은행지수등의 섹터지수 등이 있다.
- 각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
2. 인덱스펀드의 장점
- 분산투자 효과
인덱스펀드는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에 골고루 투자를 때문에 분산투자 효과가 있어 비교적 안전하다.
- 저렴한 보수와 운영비, 간단하고 투명한 운용방법
기계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는 액티브 펀드(Active Fund) 보다 보수가 매우 저렴하다. 해당 지수가 채택하는 종목을 전부 또는 거의 매수하여 보유하는 간단한 운용방법을 사용하므로, 포트폴리오 구성 내용을 쉽게 알 수 있어 매우 투명하게 운용된다.
- 쉬운 수익 예측
증시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정해져 있어 수익에 대한 예측이 용이하다.
- 낮은 리스크
장기간에 걸쳐 투자한다면 시간을 나누어 투자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일반투자자가 예측하기 어려운 경제상황, 환율, 금리 등의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낮출 수 있게 된다.
- 해외투자를 손쉽게
해외시장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에 가입하면 된다.
3. 투자시 유의사항
-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는 목적을 명확히 이해
인덱스펀드는 시장수익률을 얻기 위한 목적의 펀드이므로, 시장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액티브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향후 지수가 어떻게 움직 일지에 대한 예측 전망이 필요
지수가 하락한다면 하락한만큼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시장이 급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인덱스펀드 역시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손실 위험이 높다.
- 추적오차를 확인
과거 운용실적을 확인해 인덱스펀드의 수익률과 추종하는 지수의 수익률의 차이가 크지 않은 펀드를 선택해야 한다.
- 낮은 수수료와 총보수
인덱스펀드는 장기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수수료와 총보수가 낮은 펀드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 레버리지 인덱스펀드는 일일 변동성의 배수로 움직이기 때문에 장기투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부자되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분배금, 분배락, 세금 (0) | 2020.04.19 |
---|---|
[펀드] ETF란? (0) | 2020.04.03 |
[책] 디지털 노마드 (0) | 2020.03.30 |
[용어] 언택트, 언택트 관련주 (0) | 2020.03.27 |
[책] 아기곰의 재테크 불변의 법칙 (0) | 2020.03.27 |